1991년, 한국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가 처음으로 일본 정부에 사과와 배상을 요구했다. 이후 일본은 ‘고노 담화’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는 본인 의지에 반하여 이루어진 것이라며 일본군의 관여와 강제성을 인정했다. 하지만 일본의 보수 단체나 일부 국회의원은 위안부가 성노예가 아니라고 주장하며 고노 담화의 재검토를 요구하기도 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혐한, 혐중 시위와 반일 시위로 확대되며 외교 문제로 번지기도 했다. 이번 강의에선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일본의 역사 인식이 일본의 정치와 외교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본다.